정부지원정책

K패스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

라라라 정보 2024. 8. 18. 22:21
반응형

K패스 지원이란? 

중앙부처의 복지사업으로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서민,청년층 등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입니다. 

 

지원대상

- 만19세 이상 국민 중 월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원합니다.

-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

-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외국인만 가능합니다. 

 

적립수단

전국 모든 대중교통

(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성, 광역버스, GTX 등)

 

서비스내용(지급 기준)

-월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비용의 일정 비율에 대한 환급 지원을 합니다.

*월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최대 60회까지 지급

-월60회 초과 이용의 경우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

-30분 이내 승하차 시 1,200원 미만인 경우 이용횟수 1회로 취급됩니다. 

-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%만 적용하여 지급(경기, 인천은 예외)

 

적립기간

매월1일~말일

 

 적립률

- 일반: 20% 적립

- 청년 (만19~34세) : 30% 적립

-저소득: 53% 적립 

 

예를 들면, 일반인으로 월60분에 해당하는 금액이 22만원인 경우,

20만원 + (2만원x50%)=21만원에 대해 20%환급률이 적용됩니다. 

즉, 42000원이 환급됩니다. 

 

이용방법 

1.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
K-패스 회원 전환: 알뜰교통카드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 가능

2. K-패스 카드 신규 가입

 

자세한 정보.. https://korea-pass.kr/

 


기후동행카드 vs K-패스 카드

 

지하철을 타고 출퇴근하는 저를 기준으로 생각해보았어요. 

평일 20일 X 왕복 2,800원 = 56,000원 (횟수로 40회)

주말에 1회 외출한다면, 주말 4일 X 왕복 2,800원 = 11,200원 (횟수로8회)

총 67,200원 (48회)

-기후동행카드 (62,000원) -> 최소 5200원 Save

(주말이나 주중에 더 많이 움직인다면, save는 더욱 커짐)

-K-패스카드 20% 환급 -> 13,440원

 

저는 지극히 서울 안에서만 출퇴근 하는 경우라 많이 단순하지만, 

경기권에서 출퇴근 하신다면 많은 이득을 받을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